공부

[파이썬(python) 공부] 변수 만드는법, 사칙연산, 해시태그

빈츠와이프 2020. 7. 29. 20:14
728x90

1. 1일차 때와 동일하게 Jupyter에 들어가서 new - python 3를 클릭하여 python 실행할 수 있는 파일을 생성
2. 해당 파일을 다른이름 저장하기(file - rename)으로 해서 이름 저장
3. 변수 : 어떤 값을 저장하는 이름을 정하는것
4. 변수만드는 문법 : "사용할 변수의 이름" = "변수에 할당하는 값" (문자, 숫자, 여러가지 자료형 등)
5. 변수 이름 지정: 띄어쓰기 불가능하기 때문에 언더바(_)를 사용, 문자를 나타낼때는 따옴표("") 사용. 문자는 띄어쓰기 가능
6.

1) 데이터를 여러개 저장할 떄는 대괄호 사용  his_is_list = [1,2,3,4]
2) 숫자, 문자 섞어서 저장 {} 사용 this_is_dictionarty={'string' : 'this is string', 1:1}
3) 변수 출력하고 싶으면 print 사용 print(welcome_to_python)

 

 

In[2] : welcome_to_python은 1이고 hello_world는 hello world야 라고 한 후 welcome_to_python과 hello_world를 출력하니 1과 hello world가 나옴. 그런 형식으로 In[3]도 마찬가지로 나옴

 

 

7. 파이썬은 숫자 자료형을 동적으로 할당하기 때문에 64bit에서 구현 가능한 숫자는 자료형을 정의하지 않아도 전부 표현 가능

print가 없어도 바로 해당 값 출력이 가능

 


1) 정수=intiger
2) 변수는 print 함수 없이도 볼 수 있으나 문자는 print 함수를 꼭 써야함

8.

1) float : 소수점이 있는 숫자 자료형(소수점 없는 수자에 float() 함수 사용시 뒤에 .0이 붙음(실수 형태로 변환)
2) 숫자 자료형 : 1 2 3 4 5
3) int : 소수점이 없는 숫자 자료형(소수점 있는 숫자에 int()함수 사용시 소수점 이하 항목은 버려짐(정수 형태로 변환)
4) 함수 : print같이 어떤 일을 하라고 명령하는것. 함수 안에는 여러가지 명령이 들어 있음
5) 메소드(method) : 객체 뒤에 닷(.)을 쓴 후 적용시킬 함수를 씀. 닷(.) 앞에 오는 객체(objects)나 클래스(class)에만 적용
6) 클래스(class) : 객체와 관련 있는 변수와 함수를 모아 놓은 상위 개념
7) type: 데이터 종류 확인 가능

 

pi, type, int, float 여러개의 개념

 

위의 in[17]은 내가 의도했던대로 쓴게 아니고 이 이미지가 의도한대로 쓴거임. 

 

 


9. 숫자를 저장한 변수는 사칙연산 가능

사칙연산 가능

 


1) 승수 : 별표 두개(**) 작성 print(b**3)


2) 몫과 나머지 중

 - 나머지까지 얻고 싶으면 : print(77/3)
 - 몫만 얻고 싶다면 슬러시 두개(//) : print(77//3)
 - 나머지만 얻고싶다면 % : print(77%3)
 - 해시태그(#) : 프로그램에서 실행되지 않고 메모처럼 남기는 기능

 

정상적인 나누기, 몫만 얻고싶은 나누기, 나머지만 얻고싶은 나누기, 해시태그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