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

[파이썬(python)공부] 리스트, 인덱스, 삭제 및 변경

빈츠와이프 2020. 7. 31. 20:57
728x90

1. 빈 리스트 만들기
list함수에 빈 대괄호 써주기
list함수에 빈 소괄호를 써주기

 

빈 리스트는 대괄호를 써서 만들어주고나, 소괄호로 만들어 줄 수 있다.

 

위의 내용을 예시로 들어서 만든것! 문자와 숫자도 함께 넣을 수 있다.

 

2. 위 처럼 리스트를 만든다음에 출력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.

 


 - 3번째 요소처럼 리스트안에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['list in list variabe',1] 

 - 4번째 요소처럼 리스트안에 튜플까지 포함한 여러 가지가 섞어서 들어갈 수 있다. 

 

 

3. 리스트에서 곱셈과 덧셈 이용하고 길이도 파악 할 수 있다. 

 

리스트에서 곱셈, 덧셈 가능!

 

길이도 확인 가능!


4. 리스트의 성격

 - 여러개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배열
 - 각각의 데이터에는 순서가 있음 = 인덱스
 - 인덱스는 0부터 카운트 -> 리스트 안의 데이터 개수가 5개인 경우 :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4
 - 리스트의 특정 요소 선택 시 배열에서의 위치 반환

 

3번째 있는 3 + 5번째에 있는 5를 합치면 8! 이렇게 인덱스로 합산도 가능!

 

 

 

5. [-1] : 인덱스의 마지막 값 의미

 

제일 마지막 값은 무엇? 5!!!

 


 - 인덱스를 []안에 써서 사용할 떄는 정확히 위치를 알아야 함
 - 데이터 값은 아는데 위치를 모른다면 .index사용

   number_list에서 데이터 3이 있는 위치는? 
   number_list=[1,2,3,4,5]이므로 인덱스 2에 있음 

 

3의 인덱스를 idx로 변수 지정 한 후 print하니 2번째(실제론 3번째)에 있다고 얘기! 그 2를 인덱스로 지정해서 보니 3!  



 - 같은 값을 가진 데이터가 여러 개 있다면?

   가장 먼저 해당 값을 가진 위치를 알려줌

 

5가 몇번째에 있는지 물어보니 5번째(실제론 6번째)에 있다고 얘기!


 - 없는 데이터는 찾을 수 없어 오류 발생

 

100이라는 숫자의 인덱스를 print하라고 하는데 100이 없으니 오류가 난다

 

 



6. 인덱스를 이용해 데이터를 골라내거나, 삭제 및 수정도 가능

 

인덱스2의 값을 100으로 바꾸라고 하니 3번째 있는 3이 100으로 변경!


  - 삭제 del

 

2번째(실제론 3번째 있는 값)을 삭제하라고 하니 3번째에 있던 100이 삭제 되어 나옴

 

 



7. 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존재하고 해당 인덱스의 값도 확인 가능!

 

 

 

8. 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존재할 때 인덱스 확인하기

 

1번쨰(실제론 2번째)의 1번째(실제론 2번째)의 값을 print 하라고 하니 3이 나옴!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