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

[영상공부] 프리미어 크로마키, 흔들림보정, 트랙매트, 멀티카메라, 빠르기조절

빈츠와이프 2020. 9. 9. 21:09
728x90

 1. 크로마키 :
신버전에는 크로마키가 사라져서 울트라키를 씀

효과 중에
 - 루마키 : 밝고 어두운
 - 칼라키 : 일정 색 빼는 키

 - 울트라 키에서 output은 결과물을 보는 방법을 선택하는건데

 - composite : 완전한 결과물
 - Alpah channel : 검(삭제되는 부분), 흰(살리는 부분)으로 분류
 - Color channel : 해당 칼라를 빼는 부분

이다.

 

실제 완전 cg를 위에 녹색 크로마키를 깔지 않는 이상 빛 때문에 해당 키가 잘 안먹을수도 있는데
그럴 경우에는 Matte Generation, Matte cleanup을 통해 조절해주면 된다.

 

Alpha Channel로 보았을 때
얼굴이랑 머리카락이 분리되었다고 보이지 않게
완전한 흰색일 수 있게 조절해주면 된다.


2. 흔들림 보정 : wrap stabilzer
이건 프리미어 프로에서 알아서 흔들림을 잡아주는 건데
10%정도 확대를 한 후 흔들림을 맞춰주는거고
그러다 보니 살짝의 울렁거림이 있기는 하다.

 

3. 색보정 : RGB curves나 color 검색해서 하면 됨

cc에서는 루메트리 lumetri color로 한다.

(https://m.blog.naver.com/3dmotions/221222179436 참고)

 

4. 4-color gradient로 여러 효과 적용해서 맛깔나는 인트로 제작 가능하다.

 

5. 속도 차이로 강조를 표현할수 잇다.

 

6. 트랙매트 : 위에 있는것에 영향 받아서 나오는 것이다.

 

7. avi, mov(Quick time)로 저장할 경우에 투명하게 저장 가능(png 같은 개념)하다.

 

8. scale to frame size : 해당 영상을 시퀀스 크기에 맞추는 기능이다. 영상에 오른쪽 마우스 누르면 나온다.

 

9. i : 영상 시작점
   o : 영상 끝점

 

10. 비디오, 오디오 색 구분 하면 편하다.

오른쪽 마우스 -> 라벨 -> 원하는 색 클릭

 

11. 교차편집 :  중첩 -> 멀티카메라 기능 키고 -> 윈도우에서도 멀티카메라 켠 후 1,2,3으로 눌러서 하면 된다.

 

12. 트랙에서 노란색 선가지고 투명도, 사이즈 등등 바꿀 수 있다.

 

13. 빠르기 -> 두개 찍은거 같이 묶어서 오른쪽 마우스 temporal interpolation -> ease in 클릭해서
화살표 클릭, 그래프 조정하면 된다.

 

14. 소스가 여기저기 있으면 프리미어 파일 가지고 와도 안열린다.
따라서 project -> project manager -> resulting project의 collect files and copy to new location 선택
disk space의 calculate를 클릭해서 용량도 파악할 필요 있다.

 

15. 파일 이름 변경 및 이동 때문에 안읽힐 때 : link media로 다시 링크해줘야 한다.

 

16. replace footage로 하면 내가 원래 걸어뒀던 효과, 적용 이벤트는 그대로 두고 영상만 바꿔치기 할 수 있

다.

 

17. CBR, VBR 차이

 - CBR : 고정 비트레이트 전송. 영상의 변화나 내용에 관계없이 처음~끝 동일한 비트레이트를 사용해서 영상을 압축하는 방식. 비트 전송률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HDD의 용량 계산이 쉽고, 시스템을 관리/ 유지하기 쉽지만 데이터가 많이 필요없는 부분에서는 데이터의 낭비가 생기게 되고, 영상의 변화가 너무 많아 설정된 비트레이트 이상의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는 화질이 떨어진다.

 - VBR : 가변 비트레이트 전송. 영상의 변화가 작을때는 낮은 비트레이트, 많을 때는 높은 비트레이트를 사용하는 방식. CBR보다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, 영상 변화에 따라 대역폭의 변화가 커서 순간 네트워크에 과부화를 줄수도 있음

728x90
반응형